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제주도

천지연폭포, 칠십리공원

천지연폭포

천지연 폭포

천지연폭포 주차장은 무료이다.
입장료는 성인 2,000원, 기타~ 1,000원 등이다.

천지연 주차장에서 천지연 폭포는
평지로 수백m 걸어가면 나온다.

 입구 다리 밑에 비단잉어와 오리들이 많다.

다리에서 폭포방향 뷰

 하늘과 땅이 만나는 연못이라는 천지연은 천연 기념물 제 163 호로 지정된 담팔수의 자생지이자 구실 잣 밤나무, 천선과 나무 등의 난대 식물 지대 (천연 기념물 제 379 호)로서 계곡 전체가 천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 · 보호되고 있다.
폭포에서 위로 1km 정도 올라 가면 솜반천이라는 곳이 있어 이곳에서 솟아 나온 맑은 물이 흘러 천지연 폭포가 된다.
이곳의 하천은 천연 기념물 제 27 호인 무태장어 서식지로 보호되고 있다. <팜플렛>

 천지연폭포를 보고 나와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새연교와 새섬이 보인다.

새섬과 새연교

칠십리 공원

새섬을 등지고 지그재그로 올라가는 고갯길이 있다.
그 길을 올라가면 바로 오른 편에 칠십리공원이 있다.
공원에 주차장이 3군데 있으며, 무료이다.

칠십리 공원

칠십리공원은 천지연, 새섬 등에 가려져 관광객들이 적은 편이다.
주로 지역 주민들이 즐겨 찾는다.
산책로가 잘 꾸며져 있고 축구장, 파크골프장, 체육시설이 있다.

칠십리공원에 있는 '작가의 산책길'을 걷다보면 천지연 폭포가 내려보인다.
생각치 않은 곳에서 옛친구를 만난 기쁨이다.

경계선 사이에서...
돌계단을 걸어가다보니 내가 거울에 비친다.
사진에 있는 문이 거울로 된 자동문이다.
반대편인 줄 알았지만 이쪽 길이 비친 거였다.

거울에 비친 나에게 한 발 다가서니,
자동문이 열리고
경계선을 넘어 새로운 길로 접어든다.

보이는 것만 보고
한 치 앞의 세상, 반대편은 보지 못했다.
앞날들이...우리의 삶이 그럴 것이다.

칠십리 공원(경계선 사이에서)
화창한 날 경계선 사이에서...

※ 여러 차례 방문해서 설경 사진도 섞여있습니다.

칠십리 공원에는 시비가 많아
시를 감상하면서 산책할 수 있다.

공원의 정확한 명칭은 '칠십리 詩 공원'이다.

 화창한 날 사진은 역시 깨끗하게 나온다.

파초일엽 : 섶섬에서 자생하는 열대성 식물이다. 실내에서 키우면 천연 가습기라고 한다.

 

칠십리 공원(멀리 보이는 한라산)
녹나무
대나무
소나무

제주도에는 떡갈나무가 눈에 띄지 않는다.
녹색 잎이 무성한 나무들로 숲을 이룬다.

녹나무, 소나무, 대나무, 굴거리나무, 돈나무, 홍가시나무, 먼나무 ...

겨울을 건너뛰는 숲이다.

칠십리 공원에서 내려보이는 천지연폭포

날씨에 따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2월 10일 아침산책↓

매화꽃이 만발했고
철쭉도 피었고 이름모를 꽃도 피었다.
새섬전망대에선 멀리 지귀도가 보인다.
2월의 제주도는 조용히 봄을 맞이한다.

칠십리공원 새섬전망대 풍경

2월 14일 아침산책↓
천지연폭포 전망대와 새섬전망대.

폭포전망대는 시원한 물줄기와 폭포소리가
마음을 상쾌하게 하지만
발길을 그리 오래 붙들지 못한다.

내가 더 좋아하는 곳은 새섬 전망대다.

천지연과 새섬 산책로를 오가는 사람들,
빼곡한 집들과 지나다니는 차들,
분주한 세상을 멀찌감치 바라보면서
사색에 잠기게 한다.

해송과 대나무 잎들 사이로
펼쳐지는 섬들,
모든 걸 품은 바다, 수평선 아득하고
우아한 자태의 해송이 잔잔하다.

빨간등대와 흰등대 사이로
밤을 샌 듯한 어선이 들어온다.
새들이 지저귄다.

정적이면서도 살아있는 풍경이다.

새섬전망대
새섬전망대 해송

 2월 17일 아침산책↓
새섬전망대에서 일출을 본다.
조용한 아침이다.

 

예술의 전당

칠십리 공원 옆에 세계 조가비 박물관과
예술의 전당이 있다.
꽤 넓은 공원에 여러 개의 건물이 있다.

세계 조가비 박물관
예술의 전당 본관(눈 오는 날...)
기당미술관
삼매봉 도서관
도서관 앞 식당
식당위 옥상(도서관 바로 앞)
예술의 전당 본관

'국내여행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농업생태원 (효돈동)  (0) 2021.01.04
삼매봉 오름  (0) 2021.01.03
외돌개, 남주해금강, 선녀탕, 황우지 해변  (0) 2021.01.01
제주도 새섬, 새연교  (0) 2020.12.31
하논분화구, 걸매생태공원  (0) 2020.12.31